서론 본 포스팅에서는 쿠버네티스에서 포드 기동 장애 발생 시 트러블슈팅에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명령어에 대해 살펴본다. 쿠버네티스에서는 포드의 장애 발생 시 kubectl logs, kubectl describe 등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어느 정도 수준은 분석이 1차로 가능하다. 다만 logs가 발생되지도 않으면서 describe에 표출되는 정보 역시 무관하거나, 막연한 정도의 수준으로 표출되는 경우 포드의 상태를 검증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때 포드 기동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3가지 유용한 명령어를 활용하여 트러블슈팅을 진행할 수 있다. 본론 1) kubectl edit deployment [deployment_name] 먼저 kubectl edit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다음은 현..
본 포스팅에서는 Kubernetes를 기동하거나 운영시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 어떻게 트러블슈팅을 진행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제 Kubernetes는 Cloud를 지향하는 모든 고객사에서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습니다. CSP, On-prem 가릴것 없이 Kubernetes를 설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다만 현 대부분의 고객사들이나 운영자들은 Kubernetes의 완전한 이해 이전에 먼저 설치하고 부딪혀 보기를 원하지만, 생각보다 이는 쉽지 않은 일입니다. 이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최소한 Kubernetes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어떻게 문제를 찾아 내고 진단해야 하는지 몇가지 스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 본 예시는 하나의 장애 상황을 가정하고 이를 해결해 나가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
- Total
- Today
- Yesterday
- openstack tenant
- node.js
- API Gateway
- JEUS7
- OpenStack
- TA
- SA
- MSA
- 마이크로서비스
- git
- 아키텍처
- webtob
- openstack token issue
- aa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 Da
- nodejs
- jeus
- JEUS6
- Architecture
- SWA
- JBoss
- 쿠버네티스
- kubernetes
- k8s
- 오픈스택
- aws
- apache
- Docker
- wildfly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