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GA 패턴 & 보상트랜잭션
SAGA 패턴은 서비스 별 각 트랜잭션이 단일 서비스 내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일련의 로컬 트랜잭션을 의미한다. 첫번째 서비스의 트랜잭션이 완료되면 두번째 서비스의 트랜잭션이 동작하도록 트리거 되는 방식이라 생각할 수 있다. SAGA 패턴은 크게 두가지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Event / Chreography : 각 로컬 트랜잭션이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다른 서비스가 트리거 하는 방식 Command / Orchestration : 오케스트레이터가 어떤 트랜잭션을 수행할 건지 알려주는 방식 그럼 각 방식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자. Event/Chreography 각 서비스 마다 자신의 트랜잭션을 관리하며 현재 상태를 변경한 후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그 이벤트를 다른 서비스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트랜잭션이 ..
⑨ IT Wordbook
2020. 5. 12. 14:52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kubernetes
- Architecture
- OpenStack
- openstack token issue
- k8s
- aws
- jeus
- node.js
- apache
- TA
- JBoss
- git
- aa
- 오픈스택
- nodejs
- SA
- Docker
- Da
- JEUS6
- SWA
- API Gateway
- 아키텍처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 마이크로서비스
- openstack tenant
- JEUS7
- webtob
- wildfly
- 쿠버네티스
- MSA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