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Apache Application Deploy 과정을 살펴 보겠습니다. Apache 2.4를 정상 기동하고 지난 시간에 Default Page까지 확인하였습니다. 오늘은 신규로 Application을 추가하고 Deploy 하는 과정을 살펴 보겠습니다. 먼저 Apache Config File을 열어 아래 내용을 확인합니다. # # DocumentRoot: The directory out of which you will serve your # documents. By default, all requests are taken from this directory, but # symbolic links and aliases may be used to point to other locations. # ..
본 포스팅은 JEUS Application Deploy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사용자의 http 요청을 받은 WebtoB가 설정에 따라 정적인 요청(html,css,js등)은 WebtoB에서 처리하고, 동적인 요청(servlet,jsp)은 JEUS 컨테이너에 디플로이된 application에서 처리하도록 설정하는것을 기본으로 한다. 1. WebtoB 설정 설정파일 위치 ($WEBTOBDIR/config/http.m) *WebtoB 버전 4.1.3.2 이상을 기준 (버전확인 : wsadmin –v) 1.1 vhost 설정 - 사용자의 http 요청을 WebtoB가 받게 되면 조건에 맞는 vhost가 요청을 받고, 추후 설정에서 vhost에 따라 조건 분기가 이루어 진다. - http.m에 *NODE이하..
- Total
- Today
- Yesterday
- 아키텍처
- 오픈스택
- SA
- JEUS6
- jeus
- JEUS7
- Architecture
- openstack token issue
- 쿠버네티스
- webtob
- Docker
- k8s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 node.js
- kubernetes
- OpenStack
- API Gateway
- MSA
- Da
- TA
- aa
- aws
- apache
- git
- nodejs
- wildfly
- 마이크로서비스
- openstack tenant
- SWA
- JBos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