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본 포스팅은 Apache Application Deploy 과정을 살펴 보겠습니다.
오늘은 신규로 Application을 추가하고 Deploy 하는 과정을 살펴 보겠습니다.
먼저 Apache Config File을 열어 아래 내용을 확인합니다.
# # # |
위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Apache는 최초 설치 시 Home Directory 밑의 htdocs를 deploy 합니다.
해당 Directory는 다음과 같습니다.
index.html 파일이 있고 해당 파일은
단순하게 <html><body><h1>It works!</h1></body></html> 내용만을 담고 있습니다.
자 그럼 신규로 작성한 Application을 등록해 보겠습니다.
기존 DocumentRoot / Drectory를 신규로 반영할 경로로 변경합니다. 1. Application Deploy 경로 변경
#DocumentRoot "C:\[NRSON] S-CORE\[SW]Apache\Apache24\htdocs" |
# <Directory /> Default가 모든 Request를 막는 상태로 시작하기에 해당 설정을 약간 변경해 줍니다. <Directory /> |
앞서 start / stop이외에 재기동을 위한 restart 옵션을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자 신규로 Deploy application을 호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자신이 원하는 Application을 Deploy 하여 운영 및 테스트를 수행하게 됩니다.
다음시간에는 WEB / WAS가 분리되는 이유를 살펴보고 WebServer에서는 어떠한 일을 담당하게 될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또뵙죠~!
# 댓글과 공감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됩니다.
'④ 미들웨어 > ⓐ Apache'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ache] Sticky Session 사용가이드 (0) | 2018.08.13 |
---|---|
[Apache] mod_status.c 를 이용한 Web Console 모니터링 (0) | 2018.08.13 |
[Apache] mod proxy balancer 를 이용한 Active/Passive Setup (0) | 2018.08.09 |
[Apache] lbfactor를 이용한 Load Balancing (부하분산) (0) | 2018.08.09 |
[Apache 고수] Part 1. Apache Install & Windows Service (0) | 2018.06.05 |
- Total
- Today
- Yesterday
- Da
- SA
- MSA
- apache
- JEUS6
- aws
- wildfly
- webtob
- Docker
- kubernetes
- openstack token issue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 jeus
- JBoss
- TA
- 쿠버네티스
- JEUS7
- k8s
- openstack tenant
- SWA
- node.js
- Architecture
- OpenStack
- nodejs
- 마이크로서비스
- 아키텍처
- git
- API Gateway
- 오픈스택
- aa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