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에서는 JEUS8의 Managed Server의 상태 정보를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MS는 JEUS 6이하의 Container와 비슷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Application Deploy 과정이나, 기동 종료 과정 또는 장애 상황에 따른 상태 정보가 변경이 됩니다. 해당 상태가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파악하고 이해 한다면 상황에 대한 대응이 보다 효율적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럼 이제부터 각 상태 별 의미를 파악하고, 대응 방법에 대해 생각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SHUTDOWN 상태입니다.최초 DAS(Domain Admin Server)만 기동하고 WebAdmin을 접속 했을 때 Managed Server(이하 MS)는 SHUTDOWN상태(기동되지 않은 상태)로 보입니다. 또한, RUNN..
본 포스팅에서는 SSL설치에 필요한 개념과 설정방법을 가이드합니다.SSL은 인터넷 상거래에 필요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개인정보 유지 프로토콜입니다. SSL은 웹 제품뿐만 아니라 파일 전송 규약(FTP) 등 다른 TCP/IP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인증 암호화 기능이 있습니다. 먼저 SSL(Secure Socket Layer)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Netscape사에서 개발한 암호화 전송 프로토콜로 Certificate를 이용하여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인증을 다.SSL은 Layer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공개 Key와 암호화된 문을 해독하는 개인 Key가 쌍으로 구성됩니다.개인 Key는 해독할 사람 본인이 가지고 있고, 공개 Key는 공개하여, 다른 사람들이 ..
본 포스팅은 WAS의 장애복구과정을 설명합니다.장애가 발생하면 스스로 복구되는 과정은 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에 WAS의 장애복구 기능을 설명보고자 합니다. 먼저 장애 시 자동 복구 방안입니다.서버 장애 자동 관리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습니다.- JEUS Manager에 의한 시스템의 Container 및 어플리케이션 감지 기능으로 Container 및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재 시작 시키게 됩니다.- 웹서버와 JEUS의 시스템간 통신으로 장애에 대한 감지 기능 제공으로 JEUS 서버 장애 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JEUS 서버로 서비스합니다.- 동일 서버간 클러스터링 지원으로 무정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관리 정책에 따른 Active Management 설정방법은 다음과 같습..
본 포스팅은 TCP/IP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TCP/IP는 인터넷 네트워크의 핵심 프로토콜입니다. 인터넷에서 전송되는 정보나 파일들이 일정한 크기의 패킷들로 나뉘어 네트워크상 수많은 노드들의 조합으로 생성되는 경로들을 거쳐 분산적으로 전송되고, 수신지에 도착한 패킷들이 원래의 정보나 파일로 재조립되도록 하는 게 바로 TCP/IP의 기능입니다. 먼저 TCP/IP 4계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pplication Layer는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Telnet, FTP, SMTP등)을 제공하기 위한 계층입니다. Transport Layer는 통신 노드(End-to-End)간 연결을 제어하고 자료의 송수신을 담당합니다. Internet Layer는 통신 노드간 IP패킷을 전송하는 기능 및 라우팅..
본 포스팅은 다양한 Exception Case를 살펴보고 1차 선 대응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본 포스팅은 모든 Exception Case를 살펴보는것에 의의가 있지는 않습니다. Exception은 워낙 많은 Case가 존재하고 이를 모두 살펴 보려면 100년이 걸려도 다 살펴보지는 못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분야의 전문가가 존재할 것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이런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어떻게 대응하고 해결해 나갈 것인지에 대한 개론적인 내용을 다루고자 합니다. 특히 그중 Hand Up에 의한 장애 처리에 대해 좀 더 중점적으로 확인 할 예정입니다. 이미 많은 사람에 의해 해결된 이슈들이므로 훓어보기 식으로 쭉 내려 보기를 추천합니다. 먼저 CPU 과부하를 유발하는 현상에 대해 알아보..
본 포스팅은 TCP Packet 분석기인 WireShark 사용 가이드입니다. WireShark는 세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분석기입니다. 무료, 오픈소스 (GNU General Public License)로써 많은 산업, 교육 기관들 사이에서 사실상 표준으로 자리잡아 왔습니다. Ethereal 이라는 이름에서 2006년 Wireshark로 변경되었으며, 패킷 캡쳐를 위한 pcap 네트워크 라이브러리를 사용합니다. Linux/UNIX의 tcpdump와 유사하나 GUI와 강력한 기능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먼저 Wireshark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WireShark의 역사는 캔자스 주의 미주리 대학교에서 제럴드 콤즈(Gerald Combs)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WireS..
본 포스팅은 CPU를 사용하는 usr / sys 영역간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언젠가 사이트 CPU 이슈 발생 시 "CPU 사용 영역이 usr 영역인가요? sys 영역인가요?" 라고 물어봤던 기억이 납니다. CPU를 대량 사용하는 Process or Thread를 찾는 일은 매우 중요한일입니다. 다만 본 포스팅에서 다루는 내용을 통해 확인해야 할 범위를 최소화 할 수 있다면 이는 매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예를 들어 usr or sys 영역을 줄일 수 있다면 범위를 40% 정도 줄인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이 CPU 사용에 대한 고민이 많은 엔지니어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먼저 vmstat 명령 시 CPU 컬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us영역은 user mode 에서 소비된 c..
본 포스팅은 Tmax Timeout관련 CLHQTIMEOUT와 tmm 다운 영향도 가이드입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TIMEOUT 정책을 결정할 때 CLHQTIMEOUT과 BLOCKTIME 사이에 연관 관계에 대해 가이드 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BLOCKTIME, CLHQTIMEOUT, SVCTIME 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BLOCKTIME,CLHQTIMEOUT,SVCTIME 적용 시간에 따라 다릅니다. 먼저 BLOCKTIME < CLHQTIMEOUT 경우입니다. BLOCKTIME은 클라이언트가 API 함수를 통해 서비스 요청 후 최대 BLOCKTIME 시간이 지나도록 응답이 없으면 클라이언트 자체적으로 타임아웃 처리하며, 이때 CLH queue에 대기중인 상태라면 CLHQTIMEOUT 까지 대기 ..
본 포스팅은 Tmax 서버/서비스 동적추가 가이드입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Tmax 4.x 5.x 서버/서비스 동적 추가 시 정확한 절차와 주의사항을 기술하였습니다.동적추가를 잘못 실행하는 경우 이를 원복할 수 있는 방법은 없기 때문에, 본 문서의 내용을 참고하여 정확한 방법과 절차로 실행되어야 합니다. 본 문서는 Tmax의 동적추가 기능 중 자주 사용되는 서버/서비스의 동적추가에 대한 정확한 사용을 가이드할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먼저 동적추가의 기본 사항부터 살펴보겠습니다. 동적추가란 Tmax 시스템이 운영 중에 서비스, 서버, 서버그룹, 노드, 게이트웨이의 Tmax 구성요소를 추가하여 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기본적인 절차는 다음 4 단계를 따릅니다. 먼저 동적추가 할 리소스의..
본 포스팅은 Tmax5 장애진단 가이드입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Tmax 시스템 운영중에 발생 할수 있는 장애에 대비한 방안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Tmax Trouble Shooting 을 위한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먼저 현상을 파악합니다.다음으로 Tmax System의 구성을 확인합니다.다음으로 Tmax 환경 확인 및 분석을 수행합니다.문제가 발생한 시점의 각종 로그를 확인합니다.필요에 의해 관련 소스를 분석합니다.장애 재현 및 테스트를 수행합니다.분석 취합 및 결과를 도출합니다.마지막으로 결과를 정리하고 문서화합니다. Trouble Shooting의 단계를 하나씩 상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먼저 현상 파악입니다.정확한 현상을 파악 하여 장애 상황에 대한 범위를 최소화 합니다. 두번째로 Tmax Syst..
- Total
- Today
- Yesterday
- jeus
- webtob
- 마이크로서비스
- Architecture
- 오픈스택
- TA
- JEUS6
- MSA
- git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 aa
- JBoss
- k8s
- Docker
- kubernetes
- openstack token issue
- 쿠버네티스
- nodejs
- 아키텍처
- Da
- apache
- openstack tenant
- JEUS7
- API Gateway
- aws
- wildfly
- OpenStack
- node.js
- SA
- SWA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