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두 포스팅을 통해 Kafka(Zookeeper)의 아키텍처와 구축/기동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Kafka(Zookeeper) 아키텍처 Kafka(Zookeeper) 구축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제 Kafka Message Broker를 활용한 Pub/Sub SpringBoot Application 개발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Publisher Project 개발 가이드Publisher 구현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build.gradle 구성 > @SpringBootApplication 구성 > Swagger 구성 > application.properties 정의 > KafkaPublisherConfig 정의 > domain(Sender & Reciever Message) 정의 > Controll..

앞선 포스팅에서 Kafka(Zookeeper) 아키텍처에 대해 살펴보았다. [MSA] Kafka(Zookeeper) 아키텍처 이번 포스팅에서는 다음 포스팅에서 다룰 Pub/Sub 개발을 위한 Kafka 메시지 브로커를 구성해 보도록 하자. Kafka 설치 Kafka는 사실 설치의 개념이 없다. 단순히 압축을 해제하는 것만으로 설치는 완료된다.Kafka는 다음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Kafka : http://kafka.apache.org/ Kafka 디렉토리 구조 Kafka를 관리할 특정 디렉토리에 압축을 해제하면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주요 디렉토리]- bin : Kafka와 Zookeeper를 기동하고 관리하기 위한 bat(windows) or sh(linux/unix) 파일이 위치한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 Docker
- openstack tenant
- nodejs
- SWA
- TA
- node.js
- aws
- git
- kubernetes
- JEUS6
- 오픈스택
- API Gateway
- wildfly
- openstack token issue
- JEUS7
- k8s
- 아키텍처
- JBoss
- 마이크로서비스
- aa
- apache
- MSA
- Da
- 쿠버네티스
- OpenStack
- jeus
- Architecture
- webtob
- SA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