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포스팅은 HTTP Status 503 Service Temporarily Unavailiable에 대한 고찰입니다.다양한 케이스를 습득해 보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마련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503 STU(Service Temporarily Unavailable) 에러발생 1.1 Error 메시지 확인 1.2 WebtoB wsadmin 확인 [root@C:\Documents and Settings\coldapple]#wsadmin--- Welcome to WebtoB Admin (Type "quit" to leave) ---$$1 hny76 (wsadm): si-----------------------------------------------------------------------------..
본 포스팅에서는 SSL 접속 테스트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본 문서에서 WebtoB가 설치된 디렉토리는 [WEBTOBDIR]로 표기 하겠습니다..윈도우 계열과 리눅스/유닉스 계열 모두 명령은 동일하므로 윈도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WebtoB 설정a. Test용 인증서 생성SSL접속 테스트를 위해 WebtoB에서 Test용 인증서를 생성합니다.CA명령어를 사용하여 Test용 인증서를 생성합니다.D:\tmax\webtob\ssl> CA -newcertD:\tmax\webtob\ssl> wbssl req -config D:\tmax\webtob\ssl\wbssl.cnf -new -x509 -keyout newcert.pem -out newcert.pem -days 365Loading 'scr..
본 포스팅은 WebtoB PHP 설치 및 연동 가이드입니다. 1. PHP 설치 테스트 환경 테스트 환경 정보 OS : Linux 2.6.39_200.2.4.1 WebtoB Version : WebtoB 4.1.8.1 PHP Version : PHP-5.5.30 설치 경로 WebtoB : /user/nrson/webtob PHP : /user/nrson/phpinstall/php-5.5.30 * PHP 설치 전 cc 또는 gcc 컴파일러가 선 설치 되어야 PHP 설치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2. PHP 설치 가이드 WebtoB 설치는 선행 작업 되어있다고 가정하고 설명합니다. PHP 설치 바이너리 다운로드 http://php.net/downloads.php 해당 경로에서 설치 바이너리를 다운로드 받으..
본 포스팅은 WebtoB의 로그레벨 변경 및 TraceLog 그리고 accesslog 분석에 대한 가이드입니다. 1. 로그레벨 및 로그포맷 변경 방법 및 응용 예제 먼저 일반적인 WEBTOB 로그포멧 변경 방법 및 설정 예시 그리고 요청자의 IP 확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LOGGING절의 포맷 형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WEBTOBDIR/config/manual.m]로 확인됩니다. 포맷 의미 %a 원격지 IP 주소 %A 로컬 IP 주소 %B HTTP 헤더를 제외하고 전송된 바이트 %b HTTP 헤더를 제외하고 전송된 바이트. CLF 포맷에서는 , 전송된 것이 없을 경우 0 으로 표시하기 보다는 ‘-‘ 로 표시한다. %{FOOBAR}e 서버에 의해 지정된 환경변수 %f 파일 이름 %h 원격지 ..
본 포스팅에서는 SSL설치에 필요한 개념과 설정방법을 가이드합니다.SSL은 인터넷 상거래에 필요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개인정보 유지 프로토콜입니다. SSL은 웹 제품뿐만 아니라 파일 전송 규약(FTP) 등 다른 TCP/IP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인증 암호화 기능이 있습니다. 먼저 SSL(Secure Socket Layer)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Netscape사에서 개발한 암호화 전송 프로토콜로 Certificate를 이용하여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인증을 다.SSL은 Layer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공개 Key와 암호화된 문을 해독하는 개인 Key가 쌍으로 구성됩니다.개인 Key는 해독할 사람 본인이 가지고 있고, 공개 Key는 공개하여, 다른 사람들이 ..
본 포스팅은 TmaxSoft TP Monitor 제품인 Tmax5의 Configuration 가이드입니다. 1. Tmax Config File의 활용 $TMAXDIR/config/sample.m Tmax 시스템의 동작의 근거가 되는 파일입니다. 필수 정의 절 간에는 서로 트리 (Tree)형태의 포함 관계가 성립됩니다. 절의 이름은 별표로 시작하며, 대문자로 구성됩니다. 절의 정의 순서는 고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동일한 절이라도 내용별로 나누어 한번 이상 정의 가능하지만 동일한 내용을 반복하여 정의 하는것은 불가능합니다. 각 절의 항목들은 의 형태로 정의합니다. 항목 값은 numeric, string, literal, Y/N 형태 중 하나로 지정합니다.numeric : SHMKEY = 77990string..
본 포스팅은 JEUS Application Deploy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사용자의 http 요청을 받은 WebtoB가 설정에 따라 정적인 요청(html,css,js등)은 WebtoB에서 처리하고, 동적인 요청(servlet,jsp)은 JEUS 컨테이너에 디플로이된 application에서 처리하도록 설정하는것을 기본으로 한다. 1. WebtoB 설정 설정파일 위치 ($WEBTOBDIR/config/http.m) *WebtoB 버전 4.1.3.2 이상을 기준 (버전확인 : wsadmin –v) 1.1 vhost 설정 - 사용자의 http 요청을 WebtoB가 받게 되면 조건에 맞는 vhost가 요청을 받고, 추후 설정에서 vhost에 따라 조건 분기가 이루어 진다. - http.m에 *NODE이하..
- Total
- Today
- Yesterday
- Da
- nodejs
- apache
- API Gateway
- kubernetes
- Architecture
- 아키텍처
- JEUS6
- 오픈스택
- jeus
- webtob
- k8s
- 쿠버네티스
- SA
- MSA
- 마이크로서비스
- openstack tenant
- SWA
- wildfly
- Docker
- git
- JEUS7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 OpenStack
- aws
- TA
- aa
- node.js
- JBoss
- openstack token issu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