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에서는 하나의 Standalone Server에서 동일 Context를 사용하는 방법을 가이드합니다. 하나의 Standalone Server에 3개의 application이 deploy되어있다고 생각해봅시다. 이 3개의 applicaton에 지정된 context root는 모두 달라야합니다. 하지만 모두 같아야한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그 해결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테스트 시나리오 : 동일한 Conext root를 가진 application을 deploy하였을때 A application 의 Context root : '/' B application 의 Context root : '/' C application 의 Context root : '/' 1.아래와 같이 Standalone Server에 ..
본 포스팅은 Hostname Resolution에 대한 가이드입니다. Hostname Resolution은 주어진 이름에 대한 IP주소를 알아내는 과정을 말합니다. 사람의 입장에서는 이름을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에 도메인과 IP주소간에 변환할수 있는 방법과 방식이 필요합니다. 도메인 이름을 입력시 TCP/IP는 이 의미를 갖는 단어들을 IP주소로 번역해야합니다.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이 알고 있는 DNS(Domain Name Server)가 이 역할을 담당하게 됩니다. 다만, DNS가 항상 위와 같은 일을 담당하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인터넷이 안된느 사내 망을 사용하는 A라는 회사는 DNS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럴 경우 OS 자체적으로 DNS에 담겨 있듯 맵핑 정보를 등록하여 옳바른 TCP..
- Total
- Today
- Yesterday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 OpenStack
- openstack tenant
- node.js
- k8s
- wildfly
- nodejs
- aa
- 마이크로서비스
- JBoss
- webtob
- TA
- jeus
- 오픈스택
- 아키텍처
- MSA
- Architecture
- Docker
- API Gateway
- JEUS7
- kubernetes
- SWA
- 쿠버네티스
- apache
- openstack token issue
- SA
- JEUS6
- aws
- git
- Da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