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elm Chart를 활용하여 MSA 기반의 복잡하고 많은 yaml 파일들을 관리하는 것은 당연하면서도 필수적인 방법이다. 이를 통해 유연한 변경관리, 버전관리, 즉각 대응, 가독성 향상, 불필요한 설정 파일 최소화 등 많은 이점을 가져갈 수 있다." 앞선 포스팅에서는 Helm3를 이용한 다양한 CLI 명령어 활용법과 Kubernetes에 배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시한번 확인하고 할 경우 다음을 참조한다. Helm3 기본 명령어 확인 및 Kubernetes deploy 이번 포스팅에서는 Helm 기반 실제 프로젝트 환경에서 chart를 관리하는 과정에 대해 본격적으로 살펴보도록 하자. helm chart 생성 chart를 생성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helm create..
② 클라우드 마스터/ⓚ Kubernetes
2020. 7. 23. 23:5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1,870,939
- Today
- 166
- Yesterday
- 338
링크
TAG
- 마이크로서비스
- k8s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 Da
- API Gateway
- nodejs
- Docker
- openstack tenant
- Architecture
- node.js
- TA
- JBoss
- SA
- openstack token issue
- kubernetes
- SWA
- git
- MSA
- jeus
- JEUS7
- OpenStack
- aa
- 아키텍처
- apache
- aws
- webtob
- wildfly
- 쿠버네티스
- 오픈스택
- JEUS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