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론 Jenkins Job 중 Multibranch Pipeline을 활용하면 여러 Branch를 통합하여 하나의 Job 처럼 관리할 수 있다. 특히 Git flow와 같은 Branch 전략을 활용하기에 적합한 Job이라 할 수 있다. Feature Branch와 같은 LifeCycle이 짧은 Branch와 Developer/Master와 같은 LifeCycle이 긴 Branch를 하나의 Pipeline으로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Jenkins에서 Multibranch Pipeline을 활용하여 GitHub Branch를 배포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자. MultiBranch Pipeline 구성 Jenkins 설치 방법은 다음 포스팅을 참고한다. [Jenkins] Jenkins 설치 가이드..

서론 SVN의 경우 단일 Remote Source 저장소를 기반으로 코드를 관리하여 단순하지만, 한명의 Commit이 다른 개발자에게 지대한 영향을 줄 수 있다. Git의 경우 Local Repository에 Source 저장소를 두어 Commit하고, Remote Repository에 Push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Local Repository에 Remote Repository의 소스를 Pull & Syncronize를 받아 Conflict나 Merge를 사전에 검토하고 수정함으로써 SVN에서 발생했던 문제들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대규모의 개발 프로세스를 갖고 개발을 진행해야 하는 프로젝트의 경우 SVN을 사용하게 되면 매일 아침 Code Conflict를 수정하는 작업으로 시작해야..
- Total
- 1,667,849
- Today
- 0
- Yesterday
- 377
- aa
- openstack token issue
- kubernetes
- 쿠버네티스
- SA
- nodejs
- git
- webtob
- JBoss
- Da
- Docker
- 마이크로서비스
- k8s
- TA
- node.js
- openstack tenant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 OpenStack
- wildfly
- Architecture
- 아키텍처
- SWA
- apache
- JEUS7
- API Gateway
- jeus
- 오픈스택
- JEUS6
- MSA
- a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