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아키텍트가 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합니다.그 첫번째 시간으로 아키텍처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아키텍처는 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 및 메커니즘에 대해 설계하고 실행아키텍처를 구축하여 시스템 개발에 대한 기준을 정립합니다. 또한 아키텍처적으로 주요한 업무기능 및 공통기능을 개발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1. 정책- 아키텍처를 점진적으로 상세화하고 구축 및 검증하여 개발에 필요한 표준을 정립하는 일을 수행한다.- 아키텍처에 영향을 미치는 품질속성 및 제약사항 등의 사용자스토리는 아키텍처 요구사항으로 식별하고 필요에 따라 세분화하여 스프린트 범위를 설정한다.- 아키텍처 검증을 위해서는 핵심 기능 사용자 스토리 중심으로 선정한다.- 아키텍처는 시스템 설계 및 개발의 기본원칙과 방향을 수립하는 것으로..
① 성능 최적화, 트러블 슈팅/ⓐ Architecture
2018. 12. 17. 14:04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aws
- SWA
- OpenStack
- 아키텍처
- k8s
- 마이크로서비스
- Da
- git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 JEUS6
- JBoss
- jeus
- Architecture
- TA
- apache
- Docker
- openstack tenant
- openstack token issue
- aa
- MSA
- JEUS7
- 오픈스택
- 쿠버네티스
- nodejs
- SA
- node.js
- wildfly
- kubernetes
- webtob
- API Gateway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