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싱 장비 및 기술 (CDN, Redis, Memcached)
서론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때로는 어려운 과정을 거쳐 1%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지만, 때로는 손쉬운 과정을 거쳐 10%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도 있다. 캐싱 기능을 적용하면 사용자 응답시간을 향상 시키고 서버의 부하를 경감하기 위하여 다양한 영역과 위치에서 여러가지 캐싱 기술들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는 성능을 높이는 꽤 간단한 방법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캐싱 기능은 클라이언트와 가까울 수록 그 효과가 증대되지만, 변경에 따른 빠른 반영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브라우저 캐싱(Cache-Control) - CDN(Static Page) - WEB(Sticky) - WAS(Session, Response, ResultSet) - Database] 지금부터 ..
③ 미들웨어
2020. 5. 6. 01:1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1,870,939
- Today
- 166
- Yesterday
- 338
링크
TAG
- git
- Architecture
- Docker
- jeus
- JEUS6
- 오픈스택
- TA
- nodejs
- SA
- JBoss
- openstack tenant
- API Gateway
- aws
- 아키텍처
- MSA
- openstack token issue
- OpenStack
- kubernetes
- 쿠버네티스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 node.js
- k8s
- wildfly
- aa
- webtob
- Da
- JEUS7
- 마이크로서비스
- SWA
- apac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