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금부터 살펴볼 내용은 어쩌면 지금까지 살펴본 다양한 Kubernetes 포스팅의 완결판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다양한 Component를 살펴보며 Kubernetes가 제공하는 Request Flow에 대해 알아보고 구성해 보았습니다. 다만 각 컴포넌트들을 직접 구성하기에는 자세히 설명을 하였지만 처음 접하는 분들에게는 어려운 과정이 될 것입니다. 이에 누구나 손쉽게 따라 구성해 볼 수 있게 Shell Script와 YAML 파일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이전 포스팅은 아래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Container Management] Kubernetes Master Node 설치 [Container Management] Kubernetes Dashboard Install & Sett..

이번 포스팅에서는 git repository 이관 과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github → gitlab, gitlab → github 등으로 소스 레포지토리를 이관할 때나 github에 공개되어 있는 Repository를 내 레포지토리로 이관하여 커스터마이징하고 싶을 때 등 다양한 케이스로 git clone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github repository를 내부 저장소의 gitlab으로 이관하기 1) git clone으로 github 소스 다운받기 다음과 같이 git clone repository 경로를 입력하면 로컬에 git 저장소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root@guruson gitClone]# git clone https://github.com/sonnaraon/HelloGitRepo...
- Total
- Today
- Yesterday
- nodejs
- git
- MSA
- JEUS6
- JBoss
- apache
- openstack tenant
- aa
- k8s
- 오픈스택
- API Gateway
- wildfly
- Da
- 쿠버네티스
- 아키텍처
- openstack token issue
- jeus
- SA
- kubernetes
- Docker
- 마이크로서비스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 OpenStack
- node.js
- TA
- Architecture
- SWA
- webtob
- JEUS7
- aw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