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에서는 Linux에서의 CPU 과점유현상을 분석해보겠습니다. 먼저 CPU 사용률은 서버의 중요한 성능포인트가 됩니다. CPU사용률이 지나치게 높을경우, Web/WAS 뿐만아니라 H/W, Network등의 bottleneck(병목)현상을 유발하게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Linux에서의 CPU과점유현상에 대해 알아봅니다. 먼저, 특정 계정의 CPU 사용률을 보기위한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자세한 옵션은 아래에서 살펴보겠습니다. top -H -U [계정명] [wildfly@kmkang~/jboss64/bin$]top -H -U wildfly PID USER PR NI VIRT RES SHR S %CPU %MEM TIME+ COMMAND 4560 wildfly 20 0 7155556 587304 ..
본 포스팅은 SunOS, Solaris 서버의 CPU 과점유 현상 발생 시 대처 방안을 가이드합니다. 성능을 측정하는데는 여러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그중 중요한 CPU는 WEB/WAS 뿐만아니라 H/W, Network등의 병목을 유발하는 주요 성능 포인트 입니다. 그럼 CPU 성능 이슈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처리해야 할 지 OS별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IX 편입니다. 다양한 방법을 통해 CPU 사용률을 확인할 수 있으나, ps 명령어를 통해 확인하는 방법을 가이드 하도록 하겠습니다. 1. ps thread 별 CPU 사용률을 확인합니다. ex) ps -mp process_pid -o THREAD [nrson@ibmtest:/home/nrson]$ ps -mp 6070442 -o THREAD USER..
본 포스팅은 SunOS, Solaris 서버의 CPU 과점유 현상 발생 시 대처 방안을 가이드합니다. 성능을 측정하는데는 여러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그중 중요한 CPU는 WEB/WAS 뿐만아니라 H/W, Network등의 병목을 유발하는 주요 성능 포인트 입니다. 그럼 CPU 성능 이슈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처리해야 할 지 OS별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는 HP-UX 입니다. HP-UX의 경우 LINUX와 마찬가지로 top 명령어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나, glance을 통해 확인하는 방법을 가이드 하도록 하겠습니다. 1. glance - glance 툴은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상태 정보, 프로세스 정보, 네트웍, DISK, 메모리등 다양한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glance는 text..
본 포스팅은 SunOS, Solaris 서버의 CPU 과점유 현상 발생 시 대처 방안을 가이드합니다. 성능을 측정하는데는 여러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그중 중요한 CPU는 WEB/WAS 뿐만아니라 H/W, Network등의 병목을 유발하는 주요 성능 포인트 입니다. 그럼 CPU 성능 이슈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처리해야 할 지 OS별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는 SunOS 입니다. SunOS의 경우 LINUX와 마찬가지로 top 명령어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나, prstat을 통해 확인하는 방법을 가이드 하도록 하겠습니다. 1. prstat 모니터링할 PID를 확인합니다. JEUS7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PID확인이 가능합니다. [DAS]jeus_domain.adminServer>si Information..
본 포스팅은 LINUX 서버의 CPU 과점유 현상 발생 시 대처 방안을 가이드합니다. 성능을 측정하는데는 여러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그중 중요한 CPU는 WEB/WAS 뿐만아니라 H/W, Network등의 병목을 유발하는 주요 성능 포인트 입니다. 그럼 CPU 성능 이슈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처리해야 할 지 OS별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본 시간에는 LINUX 서버입니다. 손쉽게 CPU 사용률을 확인할 수 있는 top 명령어를 통해 우선적으로 확인합니다. 1. top top -U 옵션을 줘서 해당 계정(narason) 정보만 출력하도록 합니다. Shift + h를 누르면, Thread 정보를 출력합니다. ==> 변경된 정보 해당 정보는 아래와 같이 한번에 출력이 가능합니다. # top -H -U nara..
본 포스팅은 다양한 Exception Case를 살펴보고 1차 선 대응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본 포스팅은 모든 Exception Case를 살펴보는것에 의의가 있지는 않습니다. Exception은 워낙 많은 Case가 존재하고 이를 모두 살펴 보려면 100년이 걸려도 다 살펴보지는 못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분야의 전문가가 존재할 것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이런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어떻게 대응하고 해결해 나갈 것인지에 대한 개론적인 내용을 다루고자 합니다. 특히 그중 Hand Up에 의한 장애 처리에 대해 좀 더 중점적으로 확인 할 예정입니다. 이미 많은 사람에 의해 해결된 이슈들이므로 훓어보기 식으로 쭉 내려 보기를 추천합니다. 먼저 CPU 과부하를 유발하는 현상에 대해 알아보..
본 포스팅은 CPU를 사용하는 usr / sys 영역간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언젠가 사이트 CPU 이슈 발생 시 "CPU 사용 영역이 usr 영역인가요? sys 영역인가요?" 라고 물어봤던 기억이 납니다. CPU를 대량 사용하는 Process or Thread를 찾는 일은 매우 중요한일입니다. 다만 본 포스팅에서 다루는 내용을 통해 확인해야 할 범위를 최소화 할 수 있다면 이는 매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예를 들어 usr or sys 영역을 줄일 수 있다면 범위를 40% 정도 줄인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이 CPU 사용에 대한 고민이 많은 엔지니어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먼저 vmstat 명령 시 CPU 컬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us영역은 user mode 에서 소비된 c..
개요 vmstat은 리눅스에서 가장 기본적인 시스템 모니터링 명령어이자, 시스템 리소스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명령어이다. 간단한 명령어를 이용하여 손쉽게 시스템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어 성능테스트와 같은 특정 목적을 위해 사용하기도 하지만, 일상 모니터링 용도로도 vmstat은 많이 사용된다. vmstat 명령어 예시 a. vmstat : default 실행 [root@ip-192-168-114-198 ~]# vmstat procs -----------memory---------- ---swap-- -----io---- -system-- ------cpu----- r b swpd free buff cache si so bi bo in cs us sy id wa st 0 0 0 504328 ..
본 포스팅은 OS별 Thread의 CPU 점유 정보 확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OS의 CPU 과다 사용에 따른 추적을 위해 Thread 별 CPU 사용률을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각 OS별 확인 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AIX입니다. CPU를 점유중인 Thread를 찾기 위해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ps –mp –o THREADCPU를 사용중인 TID 확인 (CP열)USER PID PPID TID ST CP PRI SC WCHAN F TT BND COMMANDryan 3719314 778388 -A 94 60 65 * 342001 pts/23 -- - - 975101 S 0 82 1 f10006000492fa08 400400 - - -- - - 1015973 ..
- Total
- Today
- Yesterday
- MSA
- OpenStack
- openstack tenant
- Da
- Architecture
- git
- openstack token issue
- 아키텍처
- JEUS7
- API Gateway
- k8s
- jeus
- webtob
- 쿠버네티스
- apache
- 마이크로서비스
- SA
- 오픈스택
- nodejs
- aa
- SWA
- JEUS6
- kubernetes
- aws
- TA
- wildfly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 JBoss
- Docker
- node.j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