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WAS의 장애복구과정을 설명합니다.장애가 발생하면 스스로 복구되는 과정은 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에 WAS의 장애복구 기능을 설명보고자 합니다. 먼저 장애 시 자동 복구 방안입니다.서버 장애 자동 관리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습니다.- JEUS Manager에 의한 시스템의 Container 및 어플리케이션 감지 기능으로 Container 및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재 시작 시키게 됩니다.- 웹서버와 JEUS의 시스템간 통신으로 장애에 대한 감지 기능 제공으로 JEUS 서버 장애 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JEUS 서버로 서비스합니다.- 동일 서버간 클러스터링 지원으로 무정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관리 정책에 따른 Active Management 설정방법은 다음과 같습..
본 포스팅은 턱시도 설치 및 JTC FailOve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AIX 5.3 에서 JEUS5 fix22, WebtoB 4.1에서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이 테스트는 toupper 서비스를 올린 후 하나의 JEUS에서 두개의 Tuxedo로 서비스 하는 구성에서 fail over 와 fail back의 정상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이다. 테스트시 webt 버전을 확인하여야 한다. $ java -classpath $JEUS_HOME/lib/system/webt50.jar tmax.webt.WebtSystem WebT-5.5.0.50 1. OS에 맞는 Tuxedo를 다운받는다. http://commerce.bea.com/showallversions.jsp?family=TUX 2. 테스트를 위한 Tux..
- Total
- Today
- Yesterday
- Architecture
- openstack tenant
- 아키텍처
- Docker
- openstack token issue
- aa
- JBoss
- node.js
- JEUS6
- SWA
- Da
- TA
- k8s
- jeus
- JEUS7
- OpenStack
- 쿠버네티스
- apache
- webtob
- git
- wildfly
- 오픈스택
- SA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 aws
- MSA
- API Gateway
- nodejs
- 마이크로서비스
- kubernete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